65 |
본 연구는 울산 연극 인물사를 위한 토대 작업에 해당한다.이를 구체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연구 범위를 울산 연극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범곡 김태근’에게 초점화하고자 하며, 이러한 목적에 따라 그의 생애와 작품을 정리하고, 그의 희곡과 공연이 지닌 미적·…
|
|
김남석 |
2016 |
|
2865 |
64 |
이 연구의 목적은 울산의 민속학자와 아동문학가인 송석하, 정인섭,서덕출, 오영수, 천재동의 삶의 궤적에 나타난 교유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가치를 현재에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들이 살아온 삶의 현장을 탐방하여 학문적 업적을 되새기고 오늘에 그 가…
|
|
김경희 |
2016 |
|
2829 |
63 |
「울산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에서는 울산 지역의 조선후기 불상을 양식적으로 분석하고, 영남 지역에 남아있는 기년명 불상과 상호비교를 통하여 제작 시기와 작가(조각승)를 추론함으로써 울산 지역 불상의 문화재적 가치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Ⅰ. …
|
|
최선일, 강미정 |
2015 |
|
2988 |
62 |
「울산 부평역촌 일원 건물지 배치양상과 변천 연구」는 역사적 기록만으로 알려졌던 조선시대 울산군 부평역과 촌락은 최근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 부평역촌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확인되어 이를 문헌자료와 고지도 등과 함께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흔적을 확실히 함으로써 역사적 사…
|
|
황대일 |
2015 |
|
2759 |
61 |
「울산의 지역극장 ‘울산극장’의 역사와문화적 의의 연구」는 근대 초창기 문화적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인식된 울산에 극장 겸 공회당이 세워지고 이를 통해 문화적 운동과 관련된 예술활동을 전개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울산극장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문화도…
|
|
김남석 |
2015 |
|
3646 |